재료분리대는 서로 다른 재질과 재질이 만났을 때 그 두 경계를 나누면서 동시에 마감하기 위한 건축재료의 일부분이다. 화단과 보도를 가르는 경계석처럼 공간을 나누고 다른 재질이 서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재료분리대의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재료분리대의 흥미로운 점은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지만 서로 다른 재질이 공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나는 스스로를 재료분리대라고 생각한다.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정체성을 가지고 둘 사이의 빈 공간을 헤집고 들어간다. 이러한 특성은 경계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고, 개인과 집단, 세대 , 아날로그와 디지털, 가상과 현실에 대한 탐구로 발전하게 되었다.
나는 미디어, 키네틱, 공공미술 같은 유·무형적 소재를 이용하여, 그 접점에서 명확해 보이는 경계들을 의도적으로 흐리고 뒤섞어 새로운 가능성을 만들어 낸다.
개인과 집단의 관계를 합창으로 표현한 <Meta Chorus>(2023), 시스템의 순환과 종속과정, 그리고 상호작용적 조각을 게임으로 표현한 <Ping-Fontaine>(2022), 거대한 집단의 움직임을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혼합으로 구현한 <Maginal>(2022)이 이러한 작업의 예시다.
현재는 <색인되지 않은 데이터>를 주제로 3d 스캐닝을 통해 도시의 형상을 수집하고 새롭게 분류하는 방식과 공유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빙방식을 실험중에 있다.
나는 작업이 만들어지는 과정과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완성되는 예상치 못했던 결과물들에 흥미를 느낀다. 이러한 즉흥적인 행위와 그에 따른 결과는 섞이지 않을 것 같던 이질적 소재들을 뒤섞어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낸다. 그 속에서 인간의 감각을 새롭게 환기시키고, 우리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던 구분들에 의문을 제기하며, 때로는 사회 시스템에 대한 저항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Education
2009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 졸업, 서울
2011 타마미술대학교 대학원, 조각 졸업, 도쿄, 일본
2023 서울미디어 대학원 융합미디어과 졸업, 서울
GRANT
2023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트앤테크 예술과기술 후속지원 ‘meta chorus’
2022 파라다이스문화재단 파라다이스 아트랩 2022 선정 작가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트앤테크 예술과기술 융합지원
2022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 메타버스지원사업 참여 ‘MIVA project’
Solo Exhibition
2023 《Metachorus》, this is not a church, 서울
2022 《Ping-fontaine》, 아트벙커 b39, 부천
2020 《전시적 카메라시점 room#005》, 아트포럼리
2017 《between be twins》, jemirang, 서울
Selected Exhibition
2024 《2024 크리에이티브X성수》, Under Stand Avenue, 성수
2024 《같이쓰는 농부 사전》, 블루메 미술관, 파주
2024 《오늘의 조각을 말하다》, 빨간벽돌갤러리, 서울
2024 《The Tracker》, 충북문화재단, 가덕 창작소, 청주
2023 《오이코폴리틱스》,아트포럼리, 서울
2023 《meta breathing》, Pier Contemporary, 서울
2023 《새로운 자연 계약을 위하여》, 아트벙커 b39, 부천
2023 《In Sync》, 인천국제공항 청사, 인천
2023 《광주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g-map, 광주
2022 《Paradise Art Lab plus》, Art space Paradiso , 인천
2022 《Crossing-pal festiva2022》, Paradise city, 인천
2022 《Somewhere over there》 , KOTE, 서울
2021 《트러블》, 디포그, 부천
2021 《텅빈곳- 새집의 모양》, 예술청, 서울
2021 《거리로 나온 뮤지엄 유물연대기》 미디어 파사드, 코엑스, 서울
2021 《n-민감차원》 , 공간 type, 서울
2020 《사사이람》 , 시민청갤러리, 서울
2020 《태도》 , 정부청사갤러리, 서울
2019 《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포항문화재단, 서울
2019 《텅빈곳》 ,(구)동숭아트센터, 서울
public art
2024 《놀이, 터》, 부평문화재단, 부평
2023 《종로소상공인 상생 예술 프로젝트-추천경로 16분》 청춘극장, 서울
2021 《굴포천 공공미술>, 부평도시재생사업단, 부평
2020 《선잠52》, 이야기청, 서울
2020 《소리를 보여주는 사람들-전국 농학생 축제》, 예술로, 서울
2019 《배리어프리 플레이그라운드》, 이음센터, 서울
2019 《今日休業- 아이들과 놀기로..》, 부천문화재단, 부천
2017 《발간과 기록의 역사》, 국회도서관, 서울
2015 《LG Hausys》, super studio, milan, 이탈리아
2015 《을지로라이트웨이2015》, 서울디자인재단, 서울
2014 《BENZ-cls showroom》, space j , 서울
Commercial film
2022 《국립중앙박물관 인포그래픽》 , 국립중앙박물관
2022 《한국양성평등진흥원 디지털 애니메이션》, 한국양성평등진흥원